목록서적 공부 (13)
CheerUp_Cheers
백엔드의 배치 처리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하는 프레임워크 배치는 '프로그램 흐름에 따라 순차적 자료 처리(일괄처리)' #구현기능 배경지식 스프링부트 배치 이해 스프링 부트 휴면회원 배치 설계 스프링 부트 배치 설정 스프링 부트 휴면회원 배치 구현 스프링 배치 심화 멀티 스레드로 여러개의 스텝 실행 #7.1.1 배치처리에 스프링 부트 배치를 써야 하는 이유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되어 고성능 발휘 효과적인 로깅,통계처리,트랜잭션 관리 등 재사용 가능한 필수 기능 지원 수도으로 처리하지 않도록 자동화되어 있음. 예외사항과 비정상 동작에 대한 방어 기능 스프링 부트 배치의 반복되는 작업 프로세스를 이해하면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 가능 #7.2 스프링 부트 배치 이해하기 일반적인 배치 처리 절차를 따름. 읽기..
#JDK 설치하기 1) 설치 경로 https://www.oracle.com/java/technologies/javase/javase-jdk8-downloads.html #인젤리제이 IDEA 사용하기 [1] 장점 - 문법이 옳은 것인지 - 중복된 코드인지 - 사용하지 않는 변수인지 - 더나은 문법이나 람다식으로 변환 제안. - 깃허브와 연동되며 디버거와 기타 플러그인 등 여러 편리한 기능을 지원. #프로젝트 생성 1) 링크 접속 https://start.spring.io/ 2) 접속후 설정. 다음과 같이 설정 #Hello World 띄우기 @RestController @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DemoApplication { public static void main(..
#J2EE(자바 플랫폼, Enterprise Edition) [1] 서블릿 컨테이너 설치 필요 ex)톰캣, 제티, 언더토우 [2] 프로젝트 내의 환경 구성 필요. #Spring 대표적인 자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. 안정성, 성능, DI 덕분. #Spring Boot 필요한 환경 설정을 최소화.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줘 생산성 확대. Spring boot의 버전별 달라진 점과 새롭게 추가된점 보기 -> https://github.com/spring-projects/spring-boot/wiki spring-projects/spring-boot Spring Boot. Contribute to spring-projects/spring-boot development by creatin..
#앞에서의 방식의 문제점 - 수동실행되는 Test 본인의 코드가 다른 개발자 코드에 영향 없는지 전체 테스트 수행. 현재 상태는 항상 개발자가 작업을 하고, 수동으로 전체 테스트 수행 - 수동 Build 다른 사람이 작성한 브랜치와 본인이 작성한 브랜치가 합쳐졌을 때(Merge) 이상없는지는 빌드를 수행해야 암. 이를 매번 개발자가 직접 실행 => 깃허브에 푸시하면 자동으로 Test & Builde & Deploy를 진행되도록 하자! 9.1 CI & CD 소개 - CI(Continuous Intergration - 지속적인 통합) 코드 버전 관리를 하는 VCS 시스팀(Git, SVN)에 푸시 시에 테스트와 빌드가 자동수행 되어 안정적인 배포를 만드는 과정 - CD(Continuouse Deployment..
8.1 EC2에 프로젝트 Clone 받기 //깃 다운과 버전 확인 sudo yum install git git --version //git clone으로 프로젝트를 저장할 디렉토리 생성 ->app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안에 step1디렉토리 생성 mkdir ~/app && mkdir ~/app/step1 //이동 cd ~/app/step1 //본인 깃 허브 https주소 복사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wotjd4305/com.jojodu.book.git //프로젝트에 들어간 후, 코드 확인. cd 프로젝트명 ll //테스트로 검증 ./gradlew test if)권한 없음이 뜬다면?(Permission denied) chmod +x gradlew 입력 후, 재시도 8.2 배포 스..
#CHAP 0 이 책의 패러다임 전환 절차형 패러다임 -> 객체지향 패러다임으로의 변화.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개발자 공동체가 동일한 프로그래밍 스타일과 모델 공유 ->불필요한 부분에 대한 의견충돌 방지. 패러다임 교육 -> 동일한 규칙과 방법을 공유하는 개발자. -> 이 책이 쓰여진 이유. 플로이드 언급, 각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특징과 스타일은 언어에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따름. - C언어, 절차형 패러다임 기반 - JAVA, 객체지향 패러다임을 기반 - 리스프, 함수형 패러다임 - 프롤로그, 논리형 패러다임 => 프로그래밍언어와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분리 할수 없는 이유. => 객체지향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언제나 다른 패러다임에 주목하라. 추상적인 개념과 이론 -> 훌륭한 코드 작성의 도..